최종편집 : 2024-11-01 18:33 (일)
[Pick] 日 거래소는 'NFT 마켓'도 준비하는데, 국내는?
[Pick] 日 거래소는 'NFT 마켓'도 준비하는데, 국내는?
  • 정동진
  • 승인 2024.09.18 00: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규제 빌미로 신사업 준비도 못 해, NFT는 게임법 사행성 규제 속 실증도 못 해
그래픽=비아이뉴스

[비아이뉴스] 정동진 기자=ISMS 인증 획득과 실명 계좌 발급으로 묶인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의 성장세가 예전같지 않다. 단순히 하루에 움직이는 거래량과 방문자 수 등의 수치로 판단하는 시대에서 스테이킹, 렌딩 등의 커스터디 서비스로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힘에 부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치코인이라는 오명과 알트코인 상장에 열을 올렸던 시기도 특금법 통과 후 열기가 식었다. BTC, USDT, ETH, KRW 마켓의 수에 집착해 암호화폐의 부정적인 이미지만 부각돼 신규 사업 모델 발굴도 쉽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은 '화이트 리스트 코인'으로 철저히 관리되는 암호자산과 거래소, 블록체인 게임 업계와 교류하고, TV CM까지 방영할 정도로 '자금 결제법' 통과 후 대중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

18일 일본 암호자산 업계에 따르면 코인체크는 IEO 추진 외에 NFT 마켓 서비스를 추진한다. 

코인체크의 NFT 마켓 생태계 / 자료=코인체크

엔진코인(ENJ)과 제휴해 마인크래프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NFT를 코인체크의 NFT 마켓에서 거래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또 아타리나 바이낸스와 협력해 알려진 블록체인 버전의 '마인크래프트'로 통하는 '더 샌드박스'와 협력한다.

국내는 플레이댑이 6월에 출시한 '플레이댑 마켓플레이스'이 유일하다. 일본은 거래소가 운영하지만, 국내는 거래소가 아닌 프로젝트팀이 진행해 초반 생태계를 구성할 때 시작부터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NFT의 핵심은 ERC-721이나 대체 불가능한 자산이라는 사전적인 의미보다 공동의 목적을 가진 팀이 필요하다. 게임업계에서 특정 기업이 한 해 농사를 위해 파이프라인을 공개하는 것처럼 '라인업'이 중요하다.

플레이댑의 NFT 거래소 '플레이댑 마켓플레이스' / 자료=플레이댑

이미 일본의 블록체인 게임은 일부 게임을 제외하고, 이더리움 기반 게임이 대부분을 차지해 NFT 적용이 쉽다. 특히 '마이 크립토 히어로즈'의 개발사로 알려진 더블점프 도쿄가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구성을 위해 인디 게임부터 장르 불문 등으로 협력사를 늘려가고 있다.

국내는 플레이댑과 위메이드트리, 웨이투빗 등이 클레이튼의 협력업체이자 각자 라인업을 꾸렸지만, 현실은 게임법의 벽에 막혀 정식 출시조차 꺼리고 있다. NFT가 적용된 게임의 심의 보류가 일상화돼 기존 모바일 게임처럼 서비스하고, 이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NFT를 추가하겠다는 차선책이 전부다.

일본은 게임업체 구미(gumi)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콘텐츠협회(BCA)가 설립돼 프리세일, 뽑기, 가격 공개 등 블록체인 게임조차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는 특금법과 게임법의 경계에서 거래소 상장과 게임 심의까지 눈치를 보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모나코인처럼 국내도 표준 프로젝트가 없다면 블록체인 게임을 포기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며 "심의를 받더라도 경쟁할 수 있을 지는 알 수가 없다"고 전했다.

4차산업 전문언론 '비아이뉴스' [email protected]
정동진 [최근기사]
클레이튼 생태계 참여하고 클레이 받자
KISA, 스타트업 지원 발벗고 나선다
[UP! START] 루니미디어, 문명6를 PC방 요금으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