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개월 간 제로페이 가맹 신청수 14만4000건
[비아이뉴스]최진승 기자= 코로나19로 재난긴급생활비 지원비가 확대됨에 따라 제로페이 가맹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에 따르면 최근 제로페이 가맹점 수는 53만여개에 달한다. 최근 제로페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결제 선호와 서울사랑상품권 할인율 확대, 재난긴급생활비 등으로 높은 가맹 실적을 보여왔다.
50만번째 가맹점이 된 송파구 앨리스카페앤플라워 담당자는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부터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서울사랑상품권 등 다양한 상품권이 연계되어 있어 실제로 결제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제로페이 가맹 신청수도 큰 폭으로 늘었다. 중기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8500건, 2월 8900건이었던 제로페이 가맹 신청 수는 3월 8만5000건, 4월 5만9000건으로 급격히 늘어 최근 2개월 새 14만4000건의 가맹 신청수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제로페이 가맹점은 53만여개에 이른다.
이근주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원장은 “제로페이는 결제 수수료가 없거나 적은만큼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소상공인들에게 힘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현재 제로페이 이용이 가능한 앱은 간편결제 앱 18개, 은행 앱 19개다.
간편결제 앱의 경우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SSGPAY △L.pay(롯데멤버스) △스마일페이 △SK페이 △티머니 △티머니페이 △레일플러스 △하나멤버스 △머니트리 △핫플레이스 △유비페이 △핀트 △트립패스 △로드페이 등의 앱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은행 앱의 경우 △리브(국민은행) △i-ONE뱅크(기업은행) △NH앱캐시(농협은행) △올원뱅크(농협은행) △신한 쏠SOL(신한은행) △우리WON뱅킹(우리은행) △하나원큐(하나은행) △케이뱅크(케이뱅크) △투유뱅크(경남은행) △광주은행(광주은행) △포스트페이(우정사업본부) △뉴스마트뱅킹(전북은행) △NH콕뱅크(농협중앙회) △IM뱅크(대구은행) △썸뱅크(부산은행) △MG상상뱅크(새마을금고) △수협파트너뱅크(SH수협은행, 수협중앙회) △신협ON뱅크(신협중앙회) △뱅크페이(산업은행, 산림조합중앙회, 제주은행, SC제일은행)등의 앱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이 중 지역 상품권을 구입, 결제할 수 있는 앱은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머니트리 △올원뱅크(농협은행) △투유뱅크(경남은행) △썸뱅크(부산은행) △IM샵(대구은행) △광주은행 △뉴스마트뱅킹(전북은행) 등이다.
카카오페이, 금융정보 보안 강화... ISMS-P 인증 획득 |
사이냅 문서뷰어, 소상공인들의 문서 접근성 높였다 |
중기부 3조7000억원 규모 추경예산안 확정... 벤처기업 소상공인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