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31 17:31 (일)
비트코인 해시율 급감... 채산성 회복은 언제쯤?
비트코인 해시율 급감... 채산성 회복은 언제쯤?
  • 최진승
  • 승인 2024.05.25 1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TC 해시레이트, 이달 초 대비 30% 이상 감소
채굴업체의 채산성 회복 전망 엇갈려

[비아이뉴스]최진승 기자= 비트코인(BTC) 해시레이트(해시율)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지난 12일 발생한 BTC 반감기 이후 채굴 보상 감소에 따른 네트워킹 파워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BTC 해시레이트는 지난 8일 이후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다. 블록체인닷컴 데이터에 따르면 해시율은 8일 약 1억2220만 테라해시(TH/S)에서 현재 8955만 테라해시(TH/S)로 약 27% 감소했다.

비트코인(BTC) 해시레이트 변화 추이/차트=Blockchain.com

해시레이트 감소는 예상된 결과다. BTC 반감기를 맞아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감소하면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채굴업체들이 컴퓨터 전원을 내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BTC 가격상승이 채굴업체의 수익 감소분을 만회할 것이란 기대감이 있었지만 시장의 반응은 달랐다. 블록체인닷컴에 따르면 BTC 해시레이트는 이달 초 대비 33%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해시율 감소 언제까지 지속될까

해시레이트는 가격 및 채산성과 관련이 있다. 채산성은 채굴기 성능과 전기세 등의 영향을 받는다. 채굴업체는 저렴한 전기료로 높은 효율을 거두는 게 목적이다.

반면 동일한 조건이라면 가격변동이 채산성에 영향을 끼친다. 2018년 말 BTC 가격이 3000달러 대로 폭락하자 해시레이트도 동반 하락했다. 채굴업체들이 유지비를 감당키 어려웠기 때문이다.

채굴업체 수익 변화 추이/차트=Blockchain.com

앞서 두 차례 반감기 때도 보상이 절반으로 줄면서 채굴업체의 수익성이 악화됐다. 2016년 7월 두 번째 반감기 당시 전체 채굴 수익은 약 280만 달러에서 120만 달러로 57% 감소했다.

반감기 이전 채굴 수익을 회복하는 데에는 약 9개월이 소요됐다. 채굴업체들이 보상 감소에 따른 채산성 악화를 극복하는 데 9개월이 걸렸다는 뜻이다.

상대적으로 해시레이트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당시 해시레이트는 현재의 1/60 수준에 불과했다. 두 번째 반감기 이후 해시레이트는 급증하기 시작해 1년 뒤 4배 가량 올랐고 같은 기간 채굴 수익도 4배 이상 상승했다.

◆ 두 번째 반감기 후 채굴 수익 회복에 9개월 소요

하지만 세 번째 반감기를 통과한 채굴업체들의 채산성 회복에 대한 업계의 시각은 다르다.

최근 실물경제 침체에 따른 대안으로 BTC 가치가 재조명되면서 BTC 가격상승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과 함께 과거 두 번의 반감기 때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상반된 의견이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앞선 두 번의 반감기를 거치며 BTC 가격이 올랐다는 경험이 이번에도 적용될 것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비아이뉴스 DB
비아이뉴스 DB

BTC 거래수수료도 문제다. 4년 전에 비해 BTC 거래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한 현재 해시율 감소에 따른 거래수수료 부담은 또 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채굴자들은 블록생성시 수수료가 높은 트랜잭션을 우선적으로 블록에 담게 되는데 BTC 네트워크의 해시율이 감소할수록 사용자는 채굴자들에게 비싼 트랜잭션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두 번째 반감기 당시 BTC 거래수수료가 500원 수준이었던 데 반해 현재는 1만원 가까이 증가했다"면서 "해시율 감소에 따른 거래수수료 증가는 사용자들에게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채굴업체 이탈에 따른 해시율 하락이 대형 채굴업체에 의한 네트워크 독점을 야기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25일 현재 상위 4개 BTC 채굴업체(F2pool(15.01%), Poolin(20.85%), Antpool(17.59%), BTC.com(10.02%))가 BTC 전체 해시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3.47%에 이른다.

 

4차산업 전문언론 '비아이뉴스' [email protected]
최진승 [최근기사]
[기자수첩] 딜레마에 빠진 블록체인협회, 회원사 다양성 추구해야
[Pick] 디파이(DeFi) 회복세... 코로나19로 스테이블코인 관심↑
SK텔레콤-NEW ID 맞손, AI로 국내 영화, 드라마 수출 지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